기사 (22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인증에 내몰리는 축산 인증에 내몰리는 축산 가축 질병과 최근 살충제 달걀 사건 등 먹을거리의 안전과 관련한 사건이 반복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친환경, 동물복지, HACCP 등 다양한 인증제도를 만들어 축산과 축산물을 구분 짓고 있다. 안전한 먹을거리를 찾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따라서 축산농가에는 이러한 수많은 인증이 숙제처럼 던져졌다. 안전한 먹을거리, 인증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까.무항생제 인증? 한우는 전부 무항생제임에도 소비자에게는 오해 일으켜한우농가와 여러 가지 친환경인증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가장 ‘버럭’하는 부분이 무항생제 인증이다. 무항생제 인증마크 기고 | 배정은 한국농정신문 기자 | 2018-01-30 10:36 한우의 개량에 유전체 정보를 더하면? 한우의 개량에 유전체 정보를 더하면? 우리 고유의 품종 한우는 예로부터 우직하고 순박한 천성을 지닌 영물로 여겨져 우리나라의 설화나 소설 그림 등에 자주 등장하곤 하였다. 이런 한우는 농경문화가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역용종으로 이용되어 오다가 점차 그 사육 목적이 변경되어 현재는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광복 이후, 그런 한우의 발전을 위해 우수한 품종을 육성하고 사육 방법 또한 개발 되면서 생산성과 소비량이 점차 많아지게 되었고,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소비자들의 질적인 요구가 높아지면서 현재 한우는 우수한 육질을 보유한 고품질 소고기로 자리 잡고 있다. 1950 기고 | 김현주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 2018-01-29 12:20 처음처음이전이전12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