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4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기고]한우 지속적·선제적 수급조절을 위한 방법론 [기고]한우 지속적·선제적 수급조절을 위한 방법론 1. 서론최근 한육우 공급과잉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 사육두수가 2011~2014년 한우공급과잉 시기 사육두수에 근접해 있어 선제적 수급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해방 이후 한우는 고기로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한우육의 공급과잉에 따른 파동을 세 차례 경험했다.1980년대 파동은 1970년대 지속해온 한우증식 사업의 결과였고, 1990년대 말 발생했던 파동은 한우의 공급과잉과 시장개방과 외환위기에 따른 원자재가격 폭등이 결합해 발생했다. 2010년대 파동은 한우공급과잉에 따른 파동으로 지나친 한우산업에 대한 낙관론 때문이라 진단할 기획 | 김재민 농장과식탁 연구기획실장 | 2018-04-10 11:15 [3월 한우전망] 3~5월 1등급 평균 도매가격 전년보다 상승 [3월 한우전망] 3~5월 1등급 평균 도매가격 전년보다 상승 1. 한우 사육 두수 전년대비 증가 전망□ 송아지 생산 잠재력 작년보다 증가정액 판매량을 이용한 송아지 생산 잠재력 추정 결과, 2018년 상반기는 잠재력이 작년보다 5% 감소한 13만 4천 스트로였으나, 1세 미만 사육 두수는 5월 이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하반기는 높게 나타날 전망이다.□ 송아지 입식 의향 전년보다 높다표본농가 조사결과, 송아지 입식의향은 고기소 가격 강세 영향으로 당초 계획대로 유지하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고, 이 때문에 송아지 가격 상승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세 이상 두수 증가로 3월 사 기획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2018-03-21 12:33 [현장스케치] 미허가 축사 적법화 연장 무기 농성장 [현장스케치] 미허가 축사 적법화 연장 무기 농성장 북극발 최강 한파가 맹위를 떨치던 지난 1월 25일은 축산관련단체협의회와 전국축협조합장회의가 ‘적법화 기한 3년 연장, 특별법 제정 촉구 무기한 농성’에 돌입한 지 3일째 되는날이었다. 축산단체별 24시간 밤샘 릴레이 농성을 전개키로 한 가운데 이날은 우리협회를 중심으로 농성이 진행됐다.약속된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의 면담이 25일 오전 11시부터 약 한 시간동안 진행됐지만 축산관련단체장들이 기대했던 답을 얻지 못하면서 농성장 분위기가 한 때 가라앉기도 했다.축산관련단체장들은 면담에서 “당장에 두 달 이후면 전국의 축산농가들이 기획 | 한우마당 | 2018-02-09 16:48 김영란법 농수축산물은 제외해 달라 김영란법 농수축산물은 제외해 달라 우리협회를 비롯해 축산단체협의회와 한농연은 지난 8일 국회 정론관과 청와대 앞에서 부정청탁금지법과 관련해 지난달 27일 가액조정이 부결된 것을 두고 가액조정보다는 농수축산물을 제외해달라는 취지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이날 참석자들은 2년여에 걸친 농수축산 인의 간절한 바람을 이뤄내지 못하고 가액조정이라는 미봉책에 어쩔 수 없이 따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 속에 농가에 늘어나는 것이라고는 농가부채와 긴 한숨뿐이라며 가뜩이나 각종 FTA와 부실한 농정대책 등으로 허허벌판에서 각국의 농수축산물과 싸워야 하는 농민들에게 이번 결정은 생사의 갈림 기획 | 한우마당 | 2018-01-31 11:52 처음처음1끝끝